검색 엔진 결과 페이지(SERP) 반영 사전 작업과 모니터링
검색엔진
앞서, 검색엔진의 작동방식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면서
크롤링과 인덱싱 이후에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에 반영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이번에는 '검색엔진 결과 페이지'에 대한 주제를 다뤄보겠습니다.
SEO작업 진행 시에 잘 반영되었는지 확인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SERP에 키워드를 검색하여 확인하는 작업입니다.
하지만, 새로 콘텐츠를 만들었다면, 바로 상위 랭크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최소 1달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는, 점진적 반영 절차가 이뤄지므로
사전에 인덱싱까지의 작업이 잘 반영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절차가 필요합니다.
검색엔진 노출 콘텐츠 판단
그러기 위해선 우선적으로 콘텐츠를 판단해야합니다.
크게 검색엔진에 노출시킬 컨텐츠, 노출시키지 않을 컨텐츠를
구분하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보통의 SEO작업은 검색엔진에 표시될 수 있는 컨텐츠를
중점으로 진행하지만, 경우에 따라서 검색결과에 표시되지 않을
콘텐츠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하는 작업이 요구됩니다.
콘텐츠: 검색엔진에 표시하지 않는 케이스
-이전 URL
-중복 URL : 전자상거래용 정렬, 필터링 매개변수
-특수 프로모션 코드 페이지
-스테이징 서버(Staging Server) : 임시 서버
-테스트 페이지
등이 포함됩니다.
Robots.txt 의 활용
검색엔진에 표시하지 않는 콘텐츠의 경우, Robots.txt를 통해
페이지 크롤링 작업 시에 검색엔진 봇에게 지시할 수 있습니다.
*로봇텍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에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인덱싱(색인) 페이지 모니터링 방법
다음은 노출할 콘텐츠가 인덱싱에 추가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구글의 경우,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고급검색 연산자 활용 "site : 도메인.com"
2. Google Search Console(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맵 제출,
페이지 수가 Google 색인에 추가됐는지 확인
*사이트맵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에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검색엔진에 노출 콘텐츠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기존 검색엔진에 노출시킬 콘텐츠가 검색결과에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경우가 해당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사이트
-외부 웹 사이트와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사이트 내의 탐색으로 효과적인 크롤링이 어려운 경우
-'기본 코드'에 검색엔진 차단 크롤러 지시문이 존재할 경우
-스팸성 사이트일 경우